티스토리 뷰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타이어 공기 부피가 수축해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지므로 꼼꼼한 체크방법이 필요합니다.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는 공기압에 이상이 있을 때 경고등 대처법을 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진 상태라면 연비만 아니라, 휠에서 타이어가 빠져버려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겨울철 타이어 점검을 하셔야 합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이 중요한 이유
타이어 공기압을 적정수치로 유지하면 연비를 높이고,제동력으로 안전한 주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편마모를 예방하여 타이어 수명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적정 공기압 체크
차량 적정 공기압 체크
내 자동차 타이어 적정 공기압이 어느 정도인지 먼저 알아야 합니다.
운전석 문을 열어 옆면을 보면 타이어 표준 공기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별 평균 타이어 공기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 |
| 경차 | 32~34psi | 34~36psi | 32~34psi | 30~32psi |
| 승용차 | 34~36psi | 36~38psi | 34~36psi | 32~34psi |
| SUV | 36~38psi | 38~40psi | 36~38psi | 34~36psi |
경고등으로 적정 공기압 체크
각 바퀴 내부에 타이어 공기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있어 실시간으로 계기판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공기압 수치만 아니라 공기압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경고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알려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1월 1일 이후 출고된 모든 자동차에 경고등 측정 장치 장착이 의무화되었습니다.
만약 경고등 측정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주유소나 세차장, 고속도로 휴게소, 타이어 매장 등에서 셀프 측정으로 공기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대처법
일반적으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표시되는 이유는 4가지입니다.
타이어 펑크가 났을 경우,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이 낮아졌을 때, 자연스럽게 천천히 타이어 공기가 빠졌을 때, 계기판 오류입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최소 1년에 2번 정도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지면서 타이어 공기 부피가 수축하면 경고등 측정 장치가 작동되어 경고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타이어 공기압 수치까지 운전석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경고등이 표시되었다면 평소보다 약 10% 정도 공기압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2015년 이후 출고된 자동차에는 경고등 측정장치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표시되면 가까운 정비센터에 가시면 점검받을 수 있거나, 급한 상황이라면 자동차보험 긴급출동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혹은 최신 차량의 경우, 트렁크 쪽에 공기압 충전기가 있어서 직접 셀프 공기압 보충을 하셔도 됩니다.